산업의 도약을 이끌 기술 아젠다, 기업과 함께 설계한다

문신학 차관, LG사이언스파크에서 「제1차 산업기술 전략대화」

[ 기사위치 경제/사회 ]
글자크기 +
글자크기 -

산업의 도약을 이끌 기술 아젠다, 기업과 함께 설계한다

깨끗한 연구소 | fmebsnews

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


문신학 차관, LG사이언스파크에서 「제1차 산업기술 전략대화」

산업통상부(장관 김정관) 문신학 차관은 116() ‘1차 산업기술전략대화를 개최하여 LG사이언스파크 정수헌 대표 및 LG 주요 계열사 최고기술책임자(CTO)들과 우리 산업의 도약을 이끌 기술 아젠다 및 산업 R&D 혁신방안을 논의했다.


2018년 출범한 LG사이언스파크는 LG 계열사 2만여명의 연구개발 인력이 모여 기술혁신을 선도하는 LG그룹의 R&D 허브


 LG전자, LG화학, LG에너지솔루션, LG이노텍, LG디스플레이


기술패권 경쟁이 전방위로 확산되면서 우리 산업이 대전환의 분기점에 서 있는 상황에서, 민관이 함께 한국 산업의 미래를 책임질 핵심기술을 발굴하기 위해 산업부는산업기술 전략대화를 추진한다. 정부와 기업 기술책임자 간의 지속적 소통을 통해 메가 R&D 프로젝트인산업기술-퀀텀점프 이니셔티브*’ 테마를 발굴하여, 내년도 새정부 예산안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.


주관기업이 자율성·유연성을 갖고 주도하는 캐스케이딩 방식의 R&D 프로젝트로 구상


금번 1차 산업기술 전략대화에서는 LG 계열사의 산업기술 R&D 수요를 확인하는 한편, 산업통상자원 R&D 전략기획단(OSP)이 발굴한산업기술-퀀텀점프후보 테마를 논의했다. 산업 R&D 혁신방안에 대한 자유토론도 이어졌다.


LG 사이언스파크 정수헌 대표는 “LG그룹은 LG 사이언스파크를 중심으로 R&D 역량을 모아 기술 혁신을 가속화하고, 민관 협력을 통해 산업 생태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. 이어서 LG 계열사 CTO들은 그간 대기업의 정부 R&D 참여가 낮았던 것이 사실이나, 앞으로는 정부가 리스크를 분담하면서 기업에 자율성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정부와 기업이 함께 기술 혁신을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언급하며, “기업도 신속한 성과가 창출될 수 있도록 사업화 등에 필요한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.


문신학 차관은 산업기술-퀀텀점프는 대기업이 자율적으로 주도하여 중소·중견기업과 함께 기술을 개발·상용화할 수 있는 메가 R&D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며,“산업기술 전략대화를 통해 기업이 원하는 산업기술 R&D 과제를 발굴하고,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제도 개선안도 머리를 맞대고 고민할 예정이라고 했다. 또한, “앞으로도 기업이 개발한 기술이 시장에서 빠르게 성과를 낼 수 있도록 규제개선, 사업화 지원 등도 지속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하며,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다.


산업부는 산업계와 지속적으로 소통하여 기업의 R&D 투자·제도 개선 수요 등을 발굴하고, 이를 반영하여산업 R&D 혁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.



fmebsnews  

<저작권자 © 깨끗한 연구소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>